Previous Page  14-15 / 61 Next Page
Information
Show Menu
Previous Page 14-15 / 61 Next Page
Page Background

13

또한, 매년 한국을 방문하는 러시아인의 60% 정도가 이 곳 블라디보스톡을 통해서 한국을 찾는 등 극동지

역은 한국과 러시아를 이어주는 중요한 통로가 되었습니다. 일본, 중국, 아세안 회원국들도 다양한 개발 프

로젝트와 협력을 통해서 극동지역 발전을 위해 노력해 오고 있습니다. 이렇게 각국이 만들어온 소기의 성

과에도 불구하고, 극동지역 개발의 잠재력을 극대화시키고, 발전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아직 우

리가 함께 해나가야 할 일들이 많이 있습니다. 푸틴 대통령께서는 지난 제1차 동방경제포럼에서 극동 지역

의 사회·경제적 발전 및 아·태지역으로의 효과적인 통합의 중요성을 역설하신 바가 있습니다. 이러한 관

점을 고려해서 극동개발을 위한 각국의 노력과 협력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우선, 극동지역 개발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이 지역에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담보할 수 있는 환경을 포

괄적으로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식량·주택·보건·의료 분야 등에서의 투자 증대와 협력강화

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러한 차원에서 우리는 농산업복합단지 조성

등 연해주 지역에 선진 영농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할 수 있는 구체방안을 러시아와 함께 마련해 나가고자

합니다. 수산업 분야에서도 우리기업의 냉동창고 및 가공공장 건설 등 이런 참여로 극동지역 내 수산클러

스터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와 함께, 대규모 아파트 단지 건설을 통해서 양질의 주택공급 사

업 경험이 많은 우리 기업들은 이 지역의 주거 환경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ICT에 기반한 원

격진료 등의 의료기술을 가진 우리 의료기관들이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 지역의 보건·의

료 수준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둘째, 극동지역의 산업구조 다변화를 위해 인프라를 확충하고, 각각의 개발 프로젝트들이 경제적 논리에 따

라서 자생적이고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극동지역의 산업구조는 현재 에너지 및

자원개발에 집중되어 있지만, 동북아 경제권과 접해있는 최적의 물류 입지 조건 등을 감안할 때 산업구조

다변화를 통한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큽니다. 한국의 제조기술과 자본, 러시아의 과학기술과 자원 등이 잘 합

쳐질 수 있다면 세계 어느 곳보다 경쟁력 있는 산업기지를 조성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한-러 기업

들 간 협력을 통해서 교통·항만 등 인프라 기반 시설을 확충함으로써 유라시아 대륙을 복합적으로 연결

하는 새로운 물류 루트를 개발할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북극 항로는 북극자원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열어줄 것입니다. 또한, 극동지역 도시간 고속도로 건설사업과 도시 인프라 정비과정

에서 발생하는 각종 폐기물을 처리하는 친환경 사업, 첨단 기술과 혁신분야 사업 등에서 한국 기업들은 극

동지역의 지속가능한 경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지난 2013년 11월 한-러 정상회담에서 저와 푸틴 대통령님은 극동지역 개발협력의 추동력을 강화하기 위해

투융자 플랫폼을 추진키로 합의한 바가 있습니다. 향후 극동지역의 협력잠재력이 큰 분야에 공동으로 진출하

고자 하는 양국 기업들은 투융자 플랫폼을 활용해서 호혜적 협력사업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12

푸틴 대통령님, 아베 총리님, 그리고 각국의 정부 대표단 및 경제인 여러분

러시아 극동지역의 중심지인 블라디보스톡에서 작년에 이어 동방경제포럼이 개최된 것을 진심으로 축하합

니다.

극동 지역은 석유, 천연가스 등 각종 에너지 자원의 보고이자, 유럽으로 이어지는 유라시아 대륙의 교통 및

물류 대동맥이 시작되는 곳으로 러시아의 새로운 심장입니다. 일찌기 러시아의 대문호 도스토예프스키가

‘러시아의 미래에서 아시아가 주요한 출구가 될 것’이라고 갈파한 것은, 이와 같은 극동의 미래를 바라본

통찰이었습니다. 비록 지금은 북한이라는 “끊어진 고리”로 인해 극동의 엄청난 잠재적 에너지가 현실화되

지 못하고 있지만, 언젠가 그 고리가 이어질 때, 이곳은 유라시아 대륙을 아시아·태평양 지역과 하나로 연

결하는 번영과 평화의 가교가 될 것입니다. 동방경제포럼이 이러한 비전을 현실로 만들어 나가기 위한 포

괄적인 대화와 지혜의 장으로 발전해 나가게 되길 기대합니다. 특히, 이번 포럼에 한·러·일 3국 정상을

비롯, 많은 나라의 고위급 인사들이 참석하였는데, 역내 협력의 정치적 의지를 결집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

으로 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지금 세계 경제는 성장이 둔화되고 보호무역과 고립주의 경향이 대두되면서 불확실성이

날로 커지고 있으며, 아울러, 통합(integration)과 분열(disintegration)이라는 상반된 두 힘이 혼란스럽게

교차하고 있습니다. 가장 높은 수준의 정치·경제적 통합을 일구어 온 유럽지역은 브렉시트라는 중대한 도

전을 받고 있는가 하면, 아·태 지역에서는 역내 통합과 연계 강화를 위한 노력이 힘을 얻어가고 있습니다.

저는 지금 우리 지구촌이 중요한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고 생각합니다. 분열과 고립의 방어벽을 높이느냐,

개방과 통합, 연계의 길을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우리의 미래는 완전히 다른 모습이 될 것입니다. 보호무역

과 고립주의는 결코 해답이 될 수 없습니다. 이것은 역사의 교훈입니다.

지난 세기 대공황 시기에 각국의 경쟁적인 관세 인상조치는 불과 4년 만에 세계 무역 규모를 60% 이상 감

소시켰고, 1970년대 연평균 20%를 넘겼던 세계 무역증가율은 1980년대 보호무역 기조가 나타나면서 5%

미만으로 급격히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세계 경제가 앞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분열과 고립을

통해 방어벽을 높일 것이 아니라 더 높은 수준의 통합과 연계를 통해서 글로벌 경제협력의 플랫폼을 만들

어 나가야 합니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끊임없는 혁신과 개방을 통해서 미래성장 동력을 창출해 나가야

하겠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극동 지역이 갖고 있는 역내 국가 간 경제적 연계와 인적교류, 호혜적 산업구조 등의 잠

재력을 고려할 때, 이 지역은 바로 이러한 통합과 성장의 가능성을 실현시켜 나갈 기회의 땅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푸틴 대통령님의 ‘신동방정책’은 극동지역에 활기를 불어넣고 이 지역의 잠재력을 실현 가

능한 비전으로 바꿔가고 있습니다. 한국도 그간 극동지역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습니다. 우선, 이 지역을

통한 교역량이 한-러 총 교역량의 약 40% 정도를 차지할 만큼 긴밀한 경제적 연계성을 만들어 왔습니다.

동방경제포럼 기조연설문

제2차 동방경제포럼 참석 및 러시아 방문